heenam
chapter 05 상수와 기본 자료형 본문
05-1 C언어가 제공하는 기본 자료형의 이해
자료형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을 뜻한다.그리고 자료형이 미리 정의되어 있기에 우리는 자료형의 이름을 이용해서
쉽게 메모리 공간을 할당할 수 있는 것이다.
기본 자료형의 종류와 데이터의 표현범위
C언어는 여러 가지의 자료형을 정의하고 있다. 이렇듯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자료형 가리켜 '기본 자료형'이라 하며,
그 종류와 특직은 다음과 같다.
기본 자료형은 자료형 별 크기를 정확히 제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자료형 별 크기는 컴파일러마다 차이를 보인다.
자료형이 많은 수의 자료형을 제공하는 2가지 이유는
'첫째. 데이터 표현방식이 다르므로, 최소 둘 이상의 자료형이 필요합니다.'
자료형의 종류는 크게 정수 자료형과 실수 자료형으로 나뉜다.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눠놓은 이유는 컴퓨터가 정수와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수 자료형과 실수 자료형이 최소한 하나씩은 있어야 한다.
'둘째. 메모리 공간의 적절한 사용을 위해서 다양한 크기의 자료형이 필요합니다.'
메모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서 다양한 크기의 자료형이 존재한다.
연산자 sizeof를 이용하면 자료형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공간에서 소모하는 메모리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계산해서 반환하는 sizeof라는 연산자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 연산자의 피연산자로는 변수와 상수뿐만 아니라. 자료형의 이름도 올 수 있기 때문에, 이 연산자를 이용해서
자신이 사용하는 컴파일러의 자료형 별 바이트 크기도 확인할 수 있다.
'[Programming Languag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07 반복실행을 명령하는 반복문 (0) | 2020.02.17 |
---|---|
chapter06 printf 함수와 scantf 함수 정리하기 (0) | 2020.02.17 |
chapter 04 데이터 표현방식의 이해 (0) | 2020.02.08 |
chapter 03 변수와 연산자 (0) | 2020.02.07 |
chapter 02 프로그램의 기본구성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