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heenam

chapter 04 데이터 표현방식의 이해 본문

[Programming Language]/C

chapter 04 데이터 표현방식의 이해

znzltiq 2020. 2. 8. 19:09

04-1 컴퓨터가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

   컴퓨터는 2진수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표현하고 연산도 진행된다. 

 2진수란 무엇인가? 더불어 10진수, 16진수란 무엇인가?

  n개의 기호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을 가리켜 n진수라 한다.

  'n진수'에서의 n은 데이터를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기호의 갯수를 의미한다.

04-2 정수와 실수의 표현 방식

 정수의 표현 방식

  정수의 가장 왼쪽에 존재하는 비트는 '부호비트'입니다.

  양수는 '0', 음수는 '1'로 저장하여 부호를 표시한다. 그래서 이 비트를 가리켜 MSB라고 하는데 가장 중요한 비트라는      뜻을 지닌다.

 실수의 표현 방식

  컴퓨터는 우리가 표현하고자 하는 실수의 값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가까운, 문제가 없을 만큼의          근사 치를 통해서 실수를 표현하게 된다. 따라서 실수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오차가 존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이러한 오차를 가리켜 '부동 소수점 오차'라 한다.

04-3비트 연산자

  비트 연산자는 주로 하드웨어 관련 프로그래밍에 활용되지만, 그 이외의 영역에서도 사용되어 메모리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연산의 수를 줄이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연산자 연산자의 기능 결합 방법
& 비트단위로 AND  연산을 한다.
| 비트단위로 OR 연산을 한다.
^ 비트 단위로 XOR 연산을 한다.
~ 단항 연산자로서 피연산자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다.
<< 피연산자의 비트 열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 피연산자의 비트 열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